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R/O AMI
    Freeboard/Scribbles 2010. 2. 16. 23:28
    AMI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급성 심근 경색

    급성 심근경색(AMI , Acute myocardial infarction)
    (1) 정의 및 원인
    관상동맥 폐쇄로 인한 심근의 혈액공급 중단으로 심근조직이 괴사되어 정상적인 심장기능을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일명 심장발작(heart attack)이라 부른다.
    원인은 ㉮죽상경화성 죽종에 의한 관상동맥 폐쇄(90%), ㉯죽상경화증성 관상동맥 협착(복용, 흡연, 과도한 운전, 경쟁적이고 충동적 성격), ㉰불안정 협심증, ㉱심근의 산소요구량과 공급량의 불균형으로 인한 관상동맥 혈류감소(예: 심한 운동, 스트레스), ㉲혈소판 활성화, ㉳저산소증, 빈혈, 장기간 저혈압, cocaine중독에서 발생된다. 심근경색증의 급성기의 사망률은 약 25% 정도이다.
    (2) 병태생리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성 죽종(attheroma)이 혈관 벽에서 떨어져 나와 관상동맥을 폐쇄시키면 관상혈류가 감소되어 심근허혈을 일으키고, 장기간 지속되면 심근은 괴사된다, 혈관경색이 발생되면 부정맥이 일어나고, 부정맥으로 인해 심박출량 감소, 관상혈류감소, 이로 인한 심근의 급성허혈이 나타난다. 심근의 급성허혈은 펌프기능부전을 일으켜 심박출량 감소가 더 심해지므로 심근괴사는 더 촉진된다.
    심근괴사는 손상부위 크기, 경색부위, 측부순환 존재여부에 따라 달라지는데, 처음에는 심내막하에서 시작하여 심외막으로 확대되고, 심근괴사는 약 6시간 이내에 나타난다. 괴사조직에 백혈구가 침윤되어 손상된 심장 벽에 혈전이 형성된다. 괴사조직의 분해는 심근경색증 첫 1주일 이내에 생기고, 괴사후 4주 이내에 과립이 생겨 단단한 흰색 과립이 생겨 단단한 흰색 섬유성 상흔이 나타난다. 허혈로부터 섬유성 상흔이 생기는 기간은 약 3개월 정도 소요된다.
    (3) 증상 ․ 증후
    경색부위의 크기는 심근수축력에 영향을 미치고, 심근경색증의 위치는 폐쇄된 관상동맥에 따라 달라진다. 심근의 산소공급 감소로 인한 손상은 측부순환 존재에 따라 제한적일 수 있는데, 측부순환이 발달되면 관상동맥 100% 폐쇄되어도 심근경색증의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

    출처: http://blog.daum.net/skadkfl23/198?srchid=BR1http%3A%2F%2Fblog.daum.net%2Fskadkfl23%2F198

    'Freeboard > Scribb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할머니  (1) 2010.02.27
    끄적  (0) 2010.02.22
    엄마 생신  (4) 2010.02.13
    직설적인 사람.  (2) 2010.01.17
      (2) 2010.01.13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