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참. 손금성형이나 관상성형이니 취업성형이니 하는 얘기를 여기서 처음 듣는다. 정말 이 정도로 취업이 힘든 건가?
우울.
게다가 조승희 사건과 관련해서 사실 한국사람들은 미국 대학으로 유학을 못 갈까봐 우려 중이라는 내용에서는.... 정말 쪽팔리기 까지 - . - -------------------------------------------------------------------------------------------------
❑ 한국인들, 구직경쟁 속에서 성형수술 받아
(Koreans go under the knife in a cut-throat race for jobs, The Independent, 4.28, 면 단, Daniel Jeffreys, 서울 발)
한국의 10대와 20대 젊은이들이 성형수술을 받기위해 몰려들고 있다. 이들은 한국식 할리우드인 충무로에 가기 전에 가슴확대수술을 원하는 비현실적인 몽상가들은 아니다.
압구정 같은 ‘부촌’에 위치한 성형외과의 환자대기실을 가득 채운 환자들은 삼성이나 LG 같은 대기업에 직장을 얻기를 원한다. 이들은 취업성형(구직자가 취업 기회를 높이기 위한 성형조처)을 위해 외과로 돌진하고 있다.
안윤선 씨는 성형수술을 받는 사람들의 전형을 보여준다. 21세의 경제학 전공생으로 5월 초에 인터뷰가 잡혀있다. 지난 주 그녀는 잇몸과 귀 성형에 백만 원(538파운드)을 투자했다. 그녀는 은행에 취업하길 원하고 있다. “은행의 여성 직원들은 머리를 뒤로 묶어야 하지요. 귀가 예쁘고 예쁜 미소를 짓는 것이 중요해요”
안 씨는 부모님으로부터 성형 수술비용을 빌렸다. 많은 한국 젊은이들처럼 그녀도 지난 십년간의 엄청난 경제성장이 식은 것처럼 보이는 한국에서 좋은 직장을 얻지 못할 까봐 걱정하고 있다.
조승희 씨가 지난 주 버지니아에서 32명을 살해한 이후, 일부 젊은 한국인들은 수치심을 느꼈다. 하지만, 한국 블로그의 글에서 알 수 있듯이 더 많은 한국인들은 이 일로 미국 대학에 입학하지 못할 까봐 더욱 걱정했다. 많은 구인기업들은 미국 대학에서의 석사학위를 경영프로그램 입사의 최저 조건으로 요구하고 있다. 인터뷰에서 좋은 인상을 남기는 것 역시 이러한 경쟁적인 분위기를 명백히 보여준다.
“취업 면접이 곧 다가오는데 내 외모가 많은 차이를 만들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고 이번 주 서울의 한 성형외과의 웹사이트에 우려하는 글이 올라왔다. “얼굴을 작게 만들과 이마를 좁게 만들고 싶다. 얼마나 걸려야 수술 자국이 없어지겠는가?”
또 다른 졸업생은 “눈이 작기 때문에” 면접이 두렵다고 적었다. 그녀는 한국의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성형수술인 쌍꺼풀 수술을 받으려고 계획하고 있었다.
김성민 씨는 서울의 아이미 성형외과의 의사이다. 그는 1월 이후 취업성형을 요구하는 환자들의 문의가 쇄도했다고 말했다. “환자들 중 거의 30퍼센트가 면접 때문에 성형을 원한다.”고 김 의사가 말했다. “일부는 구직할 때쯤 자연스럽게 보이기 위해 대학교 3학년 때 수술을 하기도 한다.”
귀, 눈, 코, 눈썹 성형이 가장 인기가 많다. 많은 이들은 또한 면접처럼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목소리가 떨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성대에 보톡스 주입을 원하기도 한다. 압구정동 지역에 있는 여러 성형외과는 일명 ‘노블 코스메틱’을 제공하며, 들어간 이마나 튀어나온 입술을 변화시켜 보다 당당하게 만들어준다고 약속한다.
소규모 아파트가 1백 파운드가 넘는 가격에 팔리는 강남의 현 성형외과는 “보다 나음 직업을 얻도록 하기 위한 맞춤형 관상 성형”을 광고하고 있다. 현 성형외과는 이러한 마케팅 기법이 굉장히 성공적이었으며, 예약률을 38퍼센트나 증가시켰다고 말했다.
이는 부분적으로 한국 문화에서의 관상의 역할 때문이다. 얼굴의 특징으로 한 사람의 미래를 예견하거나 성격을 판단하는 심오한 기술은 아직도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적어도 이는 20대 졸업생인 신성하 씨가 성형수술을 하도록 만들었다.
그녀는 올해 초 역술가를 방문했다. “코가 너무 굽어졌고 이마에 주름이 많이 졌다고 생각했다. 관상가는 얼굴 모양 때문에 불안정한 삶을 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이러한 “관상 역술가”의 도움을 청하는 많은 한국의 젊은이들처럼 곧바로 성형수술을 했다. 사실 일부 역술가들은 파렴치한 성형외과들로부터 소개비를 받는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보다 전통적인 손금을 보는 역술가를 찾는 사람들도 이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손금성형 역시 취업과 관련된 성형 붐의 일부이다. 역술가의 권고에 따라 걱정이 많은 구직자들이 손에 선을 추가해 운명을 바꿔보겠다는 것이다.
유종오 씨는 손금을 읽는 역술가로 서울에서 손금닷컴이라는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그는 20대 환자들의 현저한 증가를 보아왔다. “이들은 절개를 해야 하는 정확한 위치를 물어본다. 대개 의사가 보낸 사람들이다.”
mimi.co.kr라는 한국의 한 성형외과의 웹사이트의 설문조사에 응한 한국의 젊은이 1100명 중 70퍼센트 이상이 취업률을 높여줄 것이라고 생각된다면 손금성형을 하겠다고 응답했다.
한국, 특히 서울의 부모들은 자녀들의 교육비에 엄청난 돈을 투자하고 최고 대학에 보내기 위해 엄청난 빚을 지기도 한다. 부모의 희생을 아는 많은 한국의 젊은이들은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 극단적인 방법을 취할 준비가 되어있다.
“사람들은 이력서와 이력서에 붙일 사진을 손본다.”고 한양대 졸업생인 이호정 씨가 말했다. “취업하지 못할까봐 걱정하는 사람들에게는 특히나 얼굴을 고치는 것이 논리적인 다음단계이다.”
Young Koreans in their teens and twenties are flocking to plastic surgeons. These are not starry-eyed dreamers seeking breast implants before a trip to Chungmuro, South Korea's version of Hollywood.
The patients crowding the waiting rooms of plastic surgeons in upmarket neighbourhoods such as Apgujeong want jobs with industrial conglomerates such as Samsung or LG. They are rushing to clinics for chieop seonghyeong or "employment cosmetics," surgical procedures designed to improve a job seeker's chance of being hired.
Ahn Yun-Seon is a typical candidate. A 21-year-old economics student, she has a job interview scheduled for early May. Last week she spent 1 million won (£538) for surgery on her gums and ears. She hopes to get a job in a bank. "Female bank employees must wear their hair tied back," she said. "It's important to have nice looking ears and a good smile."
Ms Ahn borrowed the money for her procedure from her parents. Like many young South Koreans, she is terrified that she will be unable to secure a good job in a country where the extraordinary economic growth of the last decade seems to have cooled.
After Cho Seung-Hui killed 32 in Virginia last week some young Koreans felt ashamed but, as measured by postings on Korean web blogs, even more were concerned that the atrocity would damage their chances of getting a place at an American university. Many employers demand a masters degree from a US college as a minimum condition of entry to a management programme. Taking good looks to an interview is just another manifestation of this intensely competitive atmosphere.
"I have a job interview coming up and I have realised my appearance will make a big difference," read one anxious entry in the web blog of a Seoul cosmetic clinic this week. It added: "I want my face to be smaller and my forehead narrower. Will the scars go away?"
Another graduate wrote that she was frightened of interviews because she has "small eyes." She was planning to have double eye-lid surgery, a popular procedure among young Korean women, in which a groove is cut into the eyelid to make it look more Western.
Kim Sung-Min is the chief surgeon at Imi Plastic Surgery in Seoul. He said he had been swamped since January by clients asking for employment cosmetics. "Nearly 30 per cent of our patients want to change their looks for job interviews," said Mr Kim. "Some come during their penultimate year at university, because they want their face to look natural by the time they start job hunting."
Surgeries to ears, eyes, nose and brows are the most popular. Many also want Botox injections in their vocal chords to stop their voices trembling when they are in stressful situations, such as a job interview. Several surgeons in the Apgujeong district offer what they call "noble cosmetics" and promise to transform a sunken forehead or protruding lips into something more regal.
The Hyun Plastic Surgery Clinic in Gangnam, where small apartments sell for over £1m, advertises "physiognomy cosmetic surgery tailored to secure a better job." The company said their marketing campaign has been a huge success, boosting their bookings by 38 per cent.
That's partly because of the role of physiognomy in Korean culture. The occult art of judging character or forecasting a person's future by their facial features is still influential. At least it persuaded Shin Sung-Ha, a graduate in her twenties, to go under the knife.
She visited a physiognomist earlier this year. "I thought my nose was too hooked and my brow too wrinkled," she said. "The physiognomist told me that the shape of my face suggested I would have an unstable life." She went straight to a plastic surgeon, as do many young Koreans who consult these "face fortune tellers," some of whom have been accused of taking commissions from unscrupulous cosmetic surgeons.
Even those who go to more traditional palm readers are vulnerable. Palm line plastic surgery is part of the industry's job-related boom. On the advice of a palmist, anxious job-seekers have additional lines sliced into their palms, to improve the geometry of their fortunes.
Yoo Jong-Oh is a palm reader who operates a website from Seoul called sonkum.com. He has seen a notable increase in patients in the twenties. "They ask for the exact spot where the incision should be made," he said. "They have usually been sent to me by their doctors."
More than 70 per cent of 1,100 young Koreans who took part in a survey conducted by mimi.co.kr, the website of a Korean plastic surgery clinic, said they would endure palm line surgery if they thought it would improve their job prospects.
Parents in Korea, especially in Seoul, spend a fortune on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often go deep into debt to secure them a place at a top university. Knowing the sacrifices their parents have made, many young Koreans are prepared to go to extremes in search of a good job.
"People doctor their CVs and the photos they send to employers," said Lee Ho-Jeong, who graduated from Hanyang University. "Doctoring their faces is the logical next step, especially when people are scared that they won't get h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