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의 굶주린 도망자들과 함께 죽음 혹은 자유 길에서 (타임즈)
타임즈지에 난 탈북자 관련 기사... 마음이 너무 아프다.
-----------------------------------------------
❑ 김정일의 굶주린 도망자들과 함께 죽음 혹은 자유 길에서
(On the death or freedom trail with Kim's starving fugitives, The Times, 면 단, 12.03, Michael Sheridan)
이들은 살아있는 지옥을 탈출하고 있지만, 때로는 훨씬 더 악몽 같은 운명과 만나기도 한다. 마이클 쉐리단 기자는 북한 접경 중국 국경에서 기독 단체들이 안전하게 밀입국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는 지쳤지만 필사적인 탈북자들을 만난다.
그는 어두워지고 있는 돌풍 속에서 얼어붙은 연못에 있는 탑 근처의 만남 장소로 나왔다. 그는 구조자이자 탈주자이다.
남홀철은 탈북자 11명을 구출하기 위해 중국 북동쪽 얀지(延吉)에 몰래 들어왔다.
이제 그는 계획을 세워야 했다.
❑ 김정일의 굶주린 도망자들과 함께 죽음 혹은 자유 길에서
(On the death or freedom trail with Kim's starving fugitives, The Times, 면 단, 12.03, Michael Sheridan)
이들은 살아있는 지옥을 탈출하고 있지만, 때로는 훨씬 더 악몽 같은 운명과 만나기도 한다. 마이클 쉐리단 기자는 북한 접경 중국 국경에서 기독 단체들이 안전하게 밀입국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는 지쳤지만 필사적인 탈북자들을 만난다.
그는 어두워지고 있는 돌풍 속에서 얼어붙은 연못에 있는 탑 근처의 만남 장소로 나왔다. 그는 구조자이자 탈주자이다.
남홀철은 탈북자 11명을 구출하기 위해 중국 북동쪽 얀지(延吉)에 몰래 들어왔다.
이제 그는 계획을 세워야 했다.
35세 정도의 남씨는 곱슬머리, 높은 광대뼈를 가진 전형적인 북한인의 모습을 가지고 있었다. 현찰, 서류, 따뜻한 옷과 지도를 가지고, 그는 자신처럼 김정일 정권 하에서의 굶주림과 폭력을 탈출하기 위해 모든 것을 위험에 내맡긴 다른 사람들을 구하려고 하고 있었다.
“탈북자 4명이 돼지우리에서 살고 있다”고 남씨가 말했다. “이들 중 1명이 미쳐가고 있다. 그리고 이들은 최악의 상황에 있지 않다. 지하 토굴에서 생명을 이어가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은 들판을 기었고, 강을 간신히 건너거나 강이 얼었을 때는 얼음 위를 걸었다. 이들은 필사적이다”라고 그가 덧붙였다.
남씨는 굉장히 운이 좋은 소수의 탈북자들을 태국이나 몽고로 피난하도록 도와 거기서 이들이 한국에 망명할 f수 있도록 돕는 “지하철도”의 안내원이다.
그는 자신의 얼굴을 가리고 차 뒤에 숨는다. 중국 검문소 모두가 난제이다. 북한 공작원들은 그를 죽이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으며, 그가 성노예에 넘겨질 탈북 여성들을 돕기 때문에 조선족 갱들도 그를 싫어한다.
남씨 자신도 1998년 기근으로 아내와 둘째 아들을 잃고 첫째 아들과 함께 북한을 탈출했으나, 십대도 되지 않은 사랑하는 아들은 여행 중에 사망했다.
소박한 사람인 그는 기독교 신앙에서 위로를 얻었다. 기독교 신앙은 그에게 열정을 불어 넣어, 자유를 갈망했으나 닿을 수 없었던 자신의 아들에 대한 기억 속에서 다른 사람들을 돕도록 했다. “다른 사람들을 돕는 것이 아들을 잃은 슬픔을 다루는 것을 조금은 쉽도록 만든다.”고 그가 말했다. “나는 고아들을 먼저 빼내려고 노력한다. 이유는 이해하겠지요.”
그가 속한 단체는 비밀 고아원을 설립했으며, 여기서 이들은 탈북 고아들에게 식량과 은신처 그리고 기초적인 교육을 제공한다.
수천 만 북한 주빈들이 중국의 만주지방의 3개성인 지린성, 랴오닝성, 헤이룽장성에 걸친 도시와 농장에 숨어있다. 이 지방은 투먼강과 압록강에 의해 북한으로부터 나뉘어 있다.
탈북남성들은 음식이나 적은 급료를 받고 농지에서 일하지만, 배신당할 위험이 크다. 택시기사들 조차도 20파운드라는 상금을 받고 탈북자들을 신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탈북여성들에게 그 위험은 훨씬 더 크다. 이들은 일상적으로 납치되어 강간당하고 성노예로 팔린다.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은 이러한 외진 불모지에 여성들이 엄청나게 부족하도록 만들었기 때문이다.
“나는 이들을 인터뷰한다”고 남씨가 말했다. “나는 이들을 판단한다. 누가 탈주에 성공하기 위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충분히 강할 지를 결정해야 한다. 또 쉽지 않은 한국에서의 삶에 적응할 수 있는 사람들을 골라야만 한다.”
이들은 기본적인 중국어를 배우고, 어떤 경우에는 한국인 “여행객”이라는 신분이 주어지기도 한다.
그 후 남씨는 새로운 서류를 가지고 새로운 옷을 입은 이들이 기차역이나 버스 터미널의 경찰들을 지나도록 이끌어야만 한다.
남씨는 이전에는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외국인 기자를 만나는 위험을 감수한 적이 없다. 이러한 시간을 마련하는 데는 수개월 간의 협상이 있었다. 처음에는 한국인 기독 활동가 두 명의 심사가 있었다. 우리는 방콕공항의 터미널에서 만났었다. 그 이후 수 주간은 아무 소식이 없었다. 그리고는 연락이 되었다가 안 되었다가 했다.
마침내 모든 면에서 중국에서 극단적인 얀지로 오라는 연락을 받았다. “중국공안은 ”블랙 소사이어티“에 의해 운영되고 모든 것, 심지어는 죽음까지 돈으로 살 수 있다.”고 이 도의 전직 공안이 말했다.
북한 공작원은 처벌을 받지 않는데, 마약 매매를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고 전직 공안이 말했다. 북한 공작원들은 반대자들을 납치해 암살해왔다.
남씨는 중국 안보 서비스의 고도로 복잡한 감시 작업을 피하고 있었다. 이들은 만주 커넥션을 부수고 싶어 한다. 만주는 북한의 악몽 같은 세계와 서울의 네온사인간의 결정적인 연결고리이다.
탈북자들을 만주를 벗어나기만 하면, 기차, 버스 심지어는 걸어서 중국 국경 다른 편으로 갈 수 있는 길이 있다.
이들이 실패하면, 지독한 운명이 이들을 기다리고 있다. 중국 공안에 잡히면 이들은 곧바로 북한비밀경찰의 손에 수송된다. 폭력과 학대는 최소한의 처벌이다. 그 후 며칠 간 나는 신생아 살해, 학살, 고문으로 죽음을 오래 끄는 것 등 훨씬 더 심한 이야기를 들게 된다.
강제 수송 스토리를 검증하기 위해, 우리는 중국 군대가 탈북자들을 가두기 위해 지은 감옥이 있는 투먼시 국경으로 차를 몰았다. 국경 다리에 있는 가게 점원 3명이 탈북자들이 대형화물차로 이송되는 것을 종종 본다고 말했다. 한 명은 대부분이 여성이었던 20명이 넘는 탈북자들이 11월 24일 금요일에 북한으로 송환되는 것을 봤다고 말했다.
이들은 건너편에 보이는 두개의 회색 빌딩 밖에서 내린다. 대형 김일성 초상화가 이들의 복귀를 반긴다.
이러한 광경을 지켜 본 중국 군인에 따르면, 북한 방위대는 종종 이들의 양손이나 쇄골에 철사를 꽂아 소떼처럼 연결하기도 한다. “탈북자들이 우리 동네에 숨어 있다. 물론 우리는 이들을 신고하지 않는다”고 60대의 한 농부가 말했다.
“이들은 그저 불쌍한 사람들이다. 이들을 신고하면 이들은 북으로 송환된 심한 처벌을 받게 된다. 우리가 어떻게 이런 일을 할 수 있겠는가? 이런 일은 우리 자신의 양심을 저버리는 일이다”라고 그가 말했다. 개인적인 중국의 양심과는 별개로 감옥에서 나온 대형 화물차들은 계속 굴러가고 있다.
북한은 세계 최악의 인권을 침해국으로 비난을 받아왔다. 그러나 중국은 탈북자들을 “불법 이민자”로 부르며, 1951년 난민 협약서 하에서의 자신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 중국은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UNHCR)이 이러한 접경지역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자유로 탈출한 사람들을 따라가면 진실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한국 여객기는 얀지에서 서울까지 60분이며 닿을 수 있지만, 북한 영공을 돌아 3시간 만에 도착한다.
어떠한 탈북자들도 비행기에 타기 위해 소비에트 스타일 보안 검사를 통과할 수 없다. 1953년 한국전쟁 종결 이후에도 분리된 한반도에서 역사는 가만히 멈춰선 것처럼 보인다.
영국 대사관 근처에 있는 카페에서 내 앞에 앉았던 70세 할머니의 예를 들어보자. 박경자 할머니는 8명의 자식들이 있으며, 가족 중 일부는 아직도 북한에 있다. 그러나 그녀는 북한을 탈출했다. 그것도 두 번이나.
“처음에는 중국에서 잡혀서 북한으로 돌려보내졌다. 나는 벌거벗겨 졌으며, 그들은 내가 몸속에 무언가를 숨겼을까봐 나를 쭈그려 앉게 했다. 물론 맞기도 했다. 그 후 함경북도 청진시의 남안에 있는 수용소에서 1년을 보냈다.
감옥에 같이 있었던 사람은 임신 중이었다. 나는 무지한 사람이지만, 그녀는 35세의 교육 받은 여성이었다. 그녀는 김책시 송평구의 연합기업소의 직원이었다. 그녀는 나처럼 중국에서 송환된 사람이었다.
약 새벽 3시, 그녀는 여자아기를 낳았다. 간수가 왔고, 그녀에게 아이를 죽이라고 소리쳤다. 그는 그렇지 않으면 그녀를 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아기는 누워서 울고 있었다. 아기는 아직도 탯줄로 엄마에 연결되어 있었다. 그녀는 아기를 해치려고 노력했지만, 손이 너무 떨려서 그럴 수 없었다. 그 간수는 다시 돌아왔고 그녀에게 소리 질렀다. ‘왜 아직도 그걸 죽이지 않았나?’
“그래서 내가 보고 있는 동안, 아기 엄마는 앞으로 몸을 구부려 탯줄을 물어뜯었다. 그녀는 의도적으로 아기에게 연결된 탯줄을 묶지 않았다. 피가 굉장히 많이 나왔다. 아기는 거의 곧바로 죽었다.”
우리 다섯 명이 앉아 있었던 테이블 주변에는 침묵이 흘렀다. 누구도 말을 할 수 없었다. 할머니의 소박한 얼굴에 주름이 잡혔다.
“내가 한 얘기는 내 두 눈으로 본 것이다”라고 그녀가 말했다.
그녀의 이야기는 의학문헌과 일치했다. 박씨는 간수들이 이들의 배 주변을 발로 차 다른 많은 임산부 죄수들은 유산했다고 말했다.
그녀는 감옥을 정확히 묘사했으며, 권한을 행사했던 감옥 부소장인 약 60세 정도의 경찰 중령을 묘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녀의 설명은 다른 기술과 일치했다. 북한 정권은 순수인종에 사로잡혀 있어 중국인의 피를 가졌을 것으로 생각되는 아이들을 제거한다.
김해순으로 불리기를 원했던 평양 출신 50세 여성이 죽은 송환자들에게 많은 모습으로 온다고 설명했다. 그녀는 2003년 서울로 탈출했다. “오빠가 2004년 몽골접경에서 붙잡혀 송환되었던 16명의 탈북자 그룹을 이끌었었다. 고문을 하고 난 후에 그들은 그를 정치범으로 꼽았다. 나머지 사람들은 수용소로 보내졌지만, 그는 조사를 위해 계속 구류되었다.”
그의 가족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지난여름 김 씨는 그들이 아는 북한 고위 관료가 북한을 방문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녀는 한국 여권으로 베이징으로 날아가 이 남자를 만났고 1만 불을 건네고 도움을 청했다.
“유일한 결과는 몇 주 후, 4월 28일 수감 중에 사망했으며 더 이상 알려고 하지 말라는 경고를 담은 간략한 메시지뿐이었다.”
시누와 조카 두 명은 이 소식을 듣고 도망쳤다. 이들은 투먼강을 건너는데 성공했다. 구출자들은 이제 중국 북동쪽 어딘가에서 이들을 찾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들의 희망은 팀 피터스라고 불리는 조용한 미국인 선교사이다. 그는 기독교인들이 “서울 기차”라고 부르는 것을 운영하는 사람이며, 내가 얀지에서 만난 사람의 그의 밀사였다.
피터스는 북에 식량을 보내는 것으로 시작해 탈출 기구로 졸업한 자선단체인 헬핑핸즈코리아를 설립했다. 그의 한국인 헬퍼들은 아시아 전역에 뻗어있다. 그때는 그들 중 한 명이 돈과 서류를 가지고 떠나지 않은 흔치 않은 주였다.
피터스는 외교관을 로비하고, 관료들에게 매력과 도덕적 압박을 가하며, 미 의회에 성경적 분노를 가지고 증언해왔다.
“여기 앉아서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은 비양심적이다. 이것이 아니면 성경이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쳐 주는가?” 피터스(56세)는 한국인과 결혼해 아이들이 다섯 있고, 손자도 둘이나 있다. 그는 그로 하여금 영아살해보도를 더 이해하기 힘들게 만드는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
“이곳은 복음으로부터 닫혀온 세상에서 얼마 안 되는 인구 중에 하나”라는 것이 그가 말할 수 있는 전부이다.
감히 행동하는 사람들의 용기를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필립 벅을 만나러 갔다. 그는 68세의 한국계 미국인 목사로 1천명이 넘는 탈북자들이 중국을 빠져나오도록 도왔다.
2005년 5월 6일 그의 운이 다했다. 그는 얀지에 있는 한 레스토랑에서 미국 출신 목사와 함께 만남의 장소를 떠나는 순간 중국 사복경찰 6명에게 붙잡혔다.
“그들은 나에 관해 적인 노트 세 권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모든 핸드폰 번호를 추적해왔고 5년간 나를 쫓아왔다고 말했다. 누군가가 말했을 것으로 추측한다”고 그가 말했다.
그는 살인자들과 마약거래상들과 함께 감옥에서 457일을 보냈으며, 옥수수를 먹고 찬물로 씻으면서 새벽 4시까지 계속되는 심문을 견뎌야 했다.
벅씨의 미국 여권과 심양 영상관에 있는 미 외교관의 13번의 방문만이 그를 구원할 수 있었다.
결국 중국은 “인간 밀수”로 그를 기소하려던 시도를 단념했고 올해 8월 21일 그는 로스앤젤레스 행 비행기에 탈 수 있었다.
남씨는 중국에서 본 기자를 만나기 위해 비슷한 모험을 했다. 왜냐하면 그가 이러한 상황이 더 악화될 조짐을 보인다고 우려하기 때문이다.
전 세계는 10월 9일 북한이 핵무기를 시험한 이후 제재를 가했다. 북한정권을 향한 국제식량공급은 이미 삭감되었다.
수난을 당하고 있는 북쪽 지방에서, 기근이라는 망령은 다시 한 번 북한 땅에 나타났다. 최근의 비밀 비디오는 김정일의 사격대가 탈출을 조직한 이유로 사람들을 총살하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가 광활한 투먼강을 바라봤을 때, 너무 추운 나머지 살얼음이 급류를 멈추고 있었다. 곧 투먼강은 딱딱하게 얼 것이다. 그러면 수천 명이 넘는 사람들이 어둠 속에서 강을 건널 것이다.
They are fleeing a living hell but often meet an even more nightmarish fate. Michael Sheridan on the Chinese border with North Korea meets the ragged, desperate refugees Christian groups are trying to smuggle to safety
HE came out of the darkening snow flurries to our rendezvous near a pagoda set in a frozen ornamental pond, a man who was both saviour and fugitive.
Nam Hong-chul, as he called himself, had slipped in to the far northeast Chinese city of Yanji to rescue 11 refugees from North Korea.
Now he had to make a plan.
Nam had the classic North Korean looks, aged about 35, with dark wavy hair and high cheekbones. Armed with money, documents, warm clothes and maps, he was trying to save others who, like him, had risked everything to escape starvation and violence under the regime of Kim Jong-il.
“Four of them are living with the pigs,” said Nam, as we made our way to a dingy hotel room to talk. “One of them is going insane. And they are not the worst off. There are others surviving in burrows dug in the ground. “They have crawled through the fields, then waded across the river or walked over the ice when it freezes,” Nam added. “They are desperate.”
Nam is a courier on the “underground railroad” that helps a lucky few North Koreans to sanctuary in Thailand or Mongolia, where they can seek asylum in South Korea.
He muffles his face and hides in the back of a car. Every Chinese checkpoint is a challenge. North Korean agents are out to kill him. Chinese-Korean gangsters hate him for rescuing women doomed to sexual slavery.
Nam made his own escape after his wife and younger son perished in a famine in 1998, only to lose his beloved first son, not yet in his teens, who died on the journey.
A simple man, he found that the Christian faith consoled him in his sorrow. It fired him with zeal to help others in memory of his own boy, who tried to reach freedom but never made it. “Helping other people makes it easier to deal with my grief for my son,” he explained. “I try to get the orphans out first. You will understand why.”
His group has established a secret orphanage, where they give food, shelter and a rudimentary education to a group of lost children.
Thousands of North Koreans are hiding on farms and in towns all over China’s three Manchurian provinces of Jilin, Liaoning and Heilongjiang, which are divided from North Korea by the Tumen and Yalu rivers.
The men labour on the land in exchange for food or a little cash, but risk betrayal. Even taxi drivers have been known to turn in refugees for a £20 bounty.
The danger is multiplied for women, who are routinely kidnapped, raped and sold into sexual slavery, for China’s one-child policy has sown a dire shortage of girls up in these lonely wastes.
“I interview them,” said Nam, “I judge them. I must decide who will be strong enough mentally and physically to make it. And I also have to pick ones who will be able to adapt to life in South Korea, which isn’t easy.”
They are groomed, coached in rudimentary Chinese, and in some cases given new identities as South Korean “tourists”.
Then Nam must shepherd them, with their new documents and clothes, past policemen at a railway station or bus terminal.
Nam has never before risked meeting a foreign reporter while on a mission. It had taken months of negotiation to arrange this moment. First came a vetting by two anonymous Korean Christian activists. We met in a bustling terminal at Bangkok airport. Weeks of silence followed. Then the trip was on again, off again.
At last came the call to Yanji, a place out on the extremes of China in every sense. “The police are run by the ‘black societies’ and everything can be bought, even a death,” confided a former policeman in the city.
North Korean agents operate with impunity, says the ex-policeman, funding their work by drug dealing. They have kidnapped and assassinated opponents.
Nam was also dodging a highly sophisticated surveillance operation by the Chinese security services. They want to break the Manchurian connection — that crucial link between the nightmare world of North Korea and the neon lights of Seoul, where people can eat their fill and a myriad church spires pierce the skyline.
If the refugees can make it out of Manchuria, there is a well-trodden path by rail, bus and even on foot across China to reach its distant borders.
If they fail, a terrible fate awaits them. Once caught by the Chinese, they are deported straight into the hands of the North Korean secret police. Beatings and abuse are the minimum punishments; over the next few days I was to hear accounts of far worse — the murder of newborn babies, summary executions and prolonged deaths by torture.
To verify the stories of deportation, we drove to the border city of Tumen, where the Chinese army has built a prison on a hill to house their North Korean captives. At the frontier bridge over the river, three shopkeepers said they often witnessed vanloads of prisoners being taken back. One saw more than 20 people, mostly women, escorted across on Friday, November 24.
They are unloaded outside two grey office buildings visible on the far side. A giant colour portrait of Kim Il-sung, Stalin’s ally, who founded North Korea, greets the victims on their return.
Often, North Korean guards skewer the prisoners with wire through their hands or under their collarbones to be yoked like cattle, according to Chinese soldiers who have seen the practice. “We’ve got Koreans hiding in our village,” confided a gruff farmer in his sixties, who stood looking at the view. “Of course we don’t report them!
“They are just poor people,” he went on. “If we report them they are sent back to serious punishment. How could we do that? It would betray our own consciences.” Private Chinese consciences apart, the prison vans are still rolling.
North Korea has been condemned as one of the world’s worst violators of human rights. Yet China denies its obligations under the 1951 refugee convention, calling the fugitives “illegal immigrants”. It refuses to allow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any access to these border areas. But it is possible to get at the truth by following the escapers to freedom.
The South Korean airliner could make the journey from Yanji to Seoul in 60 minutes but instead it flies a great loop around North Korean airspace to land after three hours in the air.
No refugee could hope to pass the Soviet-style security checks to get on the flight; on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it seems that history has stood still since the end of the war here in 1953. Even in Seoul, I was to find, the survivors of Kim Jong-il’s utopia cannot escape his clammy grasp.
Take the 70-year-old grandmother who sat opposite me in a cellar cafe near the British embassy. She asked to be called Park Kyong-ja. She had eight children and some of her family were still in North Korea. But she had escaped, twice.
“We were caught the first time and sent back from China,” she said. “I was stripped naked. They made me squat in case I was hiding anything in my body. I was beaten, of course. Then I was kept for a year in a prison in the Naman district of Chongjin city, North Hamgyong province.
“My cellmate was pregnant. I am a simple person but she was an educated lady of 35, on the staff of the United Enterprise Company, from the Songpyong district of Kimchaek city. She had been sent back from China, like me.
“About 3am, she gave birth to a girl. Well, the guard came along and shouted at her that she knew she must kill the baby. He said he’d beat her if she didn’t.
“The baby lay crying. It was still attached to her by the umbilical cord. She tried to will herself to harm it but her hands were shaking so much she could not. The guard came back and screamed at her, ‘Why haven’t you killed it?’
“Well, we sat there for almost three hours like that. Then at six, the guard came back again and told her, look, either you kill the baby or we will, and then we’ll beat you up and you’ll never get out of here.
“So, while I watched, the mother leant down and bit through the umbilical cord. Deliberately, she did not tie the cord connected to the baby. A lot of blood flowed out. The infant died almost immediately.”
There was a silence around the table, where five of us sat. Nobody quite trusted themselves to speak. The grandmother’s homespun features crinkled up.
“What I’ve told you is what I saw with my own eyes,” she said.
Her story was consistent with medical literature. Park said many other pregnant prisoners lost their babies because guards kicked and beat them around the abdomen.
She gave a precise description of the prison and said she could identify its deputy director, a lieutenant-colonel of police aged about 60, who exercised day-to-day authority. Her explanation was the same as in other such accounts. The regime is obsessed by racial purity, and so it exterminates children feared to be of Chinese blood.
Death comes in many guises for the returnees, as an elegant woman of 50 from Pyongyang, who asked to be named as Kim Hae-soon, explained. She escaped to Seoul in 2003. “My brother led a group of 16 escapers who were caught on the border with Mongolia and sent back in 2004,” she said. “After torture they singled him out as a political offender. The others were sent to camps but he was kept for interrogation.”
The family had influence. Last summer Kim found out that a senior North Korean official they knew was visiting China. She flew to Beijing on her South Korean passport, met the man and handed over $10,000 (£5,050) with a plea for help.
“The only result was that a few weeks later I got a curt message notifying me that my brother died in custody on April 28 this year and warning me not to inquire any further.”
Her sister-in-law and two nieces fled after hearing the news. They have just made it across the Tumen River. Rescuers are now trying to find them somewhere in northeast China.
Their hope is a quiet American missionary called Tim Peters. He is the man who runs what Christians call the “Seoul Train” and it was his emissary I had met in Yanji.
Peters founded Helping Hands Korea, a charity that started out by sending food aid to the north and has graduated to a full-time escape organisation. His web of Korean helpers extends across Asia. It is a rare week when one of them is not flying off with bundles of cash and documents.
Peters lobbies diplomats, uses charm and moral pressure on bureaucrats and has testified with fine biblical indignation to the US Congress.
“It’s unconscionable to sit here and do nothing,” he said. “What does the Bible teach us if not that?” Peters, 56, is married to a South Korean and has five children and two grandchildren of his own, a happy life that makes the reports of infanticide all the harder for him to comprehend.
“This is one of the few populations in the world that has been hermetically sealed from the Gospel” is all he can say.
To grasp the courage of those who dare to act, we went to meet Phillip Buck, a frail Korean-American pastor of 68, who helped to smuggle more than 1,000 people out of China.
His luck ran out on May 6, 2005, when he was caught by six Chinese plainclothes men as he left a rendezvous with clergy from America at a restaurant in Yanji.
“They had three notebooks full of stuff on me, they’d traced all the cellphone numbers, they told me they’d been after me for five years,” he said. “I guess somebody had talked.”
He survived 457 days in a cell with murderers and drug dealers, enduring repeated interrogations until 4am, eating cornmeal and washing in cold water.
Only Buck’s American passport and 13 visits by diplomats from the US consulate in Shenyang saved him.
Eventually the Chinese abandoned a shambolic attempt to prosecute him for “people smuggling” and he was put on a plane to Los Angeles on August 21 this year.
Back in China, Nam ran similar risks to meet me because he fears it is all about to get much worse.
The world imposed sanctions after North Korea tested a nuclear weapon on October 9. International food supplies to the regime have already been cut back.
In the suffering northern provinces, the spectre of famine once again haunts the land. Recent clandestine videos show Kim Jon-il’s firing squads shooting people found guilty of organising escapes.
As we looked down at the broad Tumen river, it was so cold that great sheets of ice were stilling its torrents. Soon it will freeze solid. And then thousands more will dare to trudge across in the dark.
Police state
North Korea is the world’s only hereditary communist dictatorship
It controls food supply to 20m citizens. Hungry people flee to China
Refugees sent back face prison, torture and, in some cases, execution
Forced abortions and racially motivated baby killings in prison are well documented
Political prisoners are kept in gulag
Escapers tell of gas experiments on prisoners and forced labour on nuclear and chemical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