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th Koreans playing the game of life / 영국 The BBC, 인터넷, 5.03)
한국은 굉장히 바쁜 삶을 살고 있는 4800만 명의 인구가 밀집한 곳이다. 그러나 한국인들은 더 많은 시간을 사이버 상에서 보내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사회생황에 필수적이 된 웹사이트인 ‘싸이월드’에 사로잡히게 되었다.
인구의 1/3이 싸이월드에 가입했으며, 싸이월드는 이들을 온라인 페르소나에 가입하라고 초대한다.
"이게 저에요”
“어떤 게 당신인가요?”
“이게 저에요.”
“여기 있는 이 사람이요? 가스 마스크를 쓰고 있네요?”
“가스 마스크요”
“군인 인가보죠?”
“네”
우제현씨는 싸이월드를 이용하는 한국인 20대 90% 중의 한 명이다.
가입을 하게 되면, 소위 ‘미니룸’을 받게 되는데, 온라인 친구들이 이곳을 방문할 수 있다.
처음에는 미니룸이 빈 상태로 있으며, 미니룸을 더 멋있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 가상가구에 실제 현금을 지불한다.
제현씨는 그녀의 미니룸을 기자에게 보여줬다.
“당신의 멋진 미니룸 안에 이제 우리가 있는데요. 여기서 무엇을 볼 수 있죠?”
“여기 있는 게 다 저에요. 운동하는 모습, ‘사랑해’라는 표지판을 들고 있는 모습. 그리고 여기, 저와 제 남편이에요.”
“당신은 왜 궁전을 가지고 있지요?”
“공주처럼 살고 싶기 때문이에요.”
싸이월드 관제소에서, 소통량을 감시하는데, 사용자들이 가상 제품을 더 많이 구매하면서 수익이 쌓여간다.
자신만의 미니미를 가지고 있는 이 매니저는 싸이월드가 온라인상에서 사람들에게 더 나은 삶을 주고 있다고 주장한다.
“당신이 원하는 대로, 당신의 친구들을 당신이 원하는 대로, 그리고 당신의 사회를 당신이 원하는 대로,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들이 자신의 꿈을 표출할 수 있습니다.”
한국 젊은이들은 가상세계에서만 사회생활을 하지는 않는다. 이들은 온라인 게이머들에 푹 빠져있는데, 이들 중 최고 몇몇은 슈퍼스타가 될 수 있다..
이 모든 흥분을 자아내는 것은 사실 무감각한 두 명의 젊은 스타크래프트 게이머들이다. 이 장면은 컴퓨터 게임을 24시간 방송하는 두 채널 중 한 곳에서 생중계되고 있다.
전문 게이머들은 엄청난 돈을 벌 수 있으며, 젊은 팬들의 헌신도 얻을 수 있다.
서울의 수많은 싸이버 카페 중의 한 곳에서, 아마추어들은 때로는 수일간, 유례없는 집중을 하며 온라인 게임을 즐긴다.
다른 카페에서는 한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다가 쓰러져 죽기도 했다.
이 33세의 무직 남성은 자신이 이곳에서 온라인 세계에서 다른 이들과 싸우며 겨우 6시간만 보낸다고 말한다.
“왜 한국 사람들이 게임을 그렇게 좋아한다고 생각합니까? 왜 그렇게 많은 게임을 하지요?”
“온라인게임에서 만족을 느낍니다. 왜냐하면, 당신이 플레이하는 캐릭터, 즉 당신의 사이버 자아가 현실세계에서는 얻을 수 없는 것을 성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조조차 디지털 잉어로 채워져 있는 나라는 기술이 사물을 어떻게 바꿀지를 보여주는 시험대이다.
한국의 현실을 어느 정도 따르자면, 우리들 대부분은 결국 가상의 삶을 살게 될 수 있다.
로리 케쓰란 존스기자.
It's a densely packed country with 48 million people leading very busy lives. But South Koreans are spending more and more of their time in cyber space.
Many have become obsessed with Cyworld, a website which has become essential to their social life.
A third of the population has joined the service, which invites them to join with online persona.
“This is me.”
“So which is your one?”
“This is me.”
“This one here, he's wearing a gas mask.”
“Gas mask.”
“Is he a soldier?”
“Yes.”
Woo Je-Hyun is among 90% of Koreans in their 20s now using Cyworld.
When you join up, you are given a so called mini room, where your online friends can come and visit.
At first the room is bare. you then pay real money for virtual furnishings to make it look better.
Je-Hyun showed me around her mini room.
“So Je Hyun here we are, in your lovely mini room. What can we see here?”
“This is all me. exercising me, me with a sign with 'I love you'. and this is me and my husband. This is my palace.”
“Why have you got palace?”
“Because I want to live like a princess.”
At Cyworld mission control, they have watched the traffic, and profits mount up as users pay more and more virtual goods.
This manager with his own mini me, claims Cyworld is giving people better life online.
“It's like how you wanna be. and how your friends like to be, and how your society like to be. Also they can express their dreams.”
Young Koreans aren't just running their social life in the virtual world, they are completely obsessive online gamers. and the best of them can become super stars.
What's causing all the excitement, well actually is just two impassive young men playing a game called Starcraft. It's going on live on one of the two TV channels, which show computer gaming 24 hours a day.
Professional players earn big money and the devotion of young fans.
At one of Seoul's many cyber cafes, amateurs play online games with a rare intensity, sometimes for days on end.
In another cafe, one player collapsed and died.
This 33 year old, unemployed man says he only spends 6 hrs a day here, battling others in online world.
“Why do you think people in Korea love games so much? Why do they play so many games?”
“You get satisfaction from online games, because your cyber-ego, the character you're playing, can achieve what you cannot achieve in the real world.”
A country where even the fish pond is stocked with digital carp is test bed for how technology will change things.
If South Korea is anything to go by, more of us could end up leading virtual l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