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board/Everydays

[일상] 저녁

tempus_fugit 2005. 5. 6. 07:30
오늘도 어김 없이 6시가 조금 넘어서 기상.
기사 검색 후, 학교로 출근.

오늘은 다행히 딱 3건 밖에 없었는데,
별로 중요한 기사가 아니라서
그 대신, BBC Radio 4에 난 역사교과서 문제를 다룬 뉴스를 번역했다.

일본의 시각에서, 우리만 역사를 왜곡하냐, 중국이나 한국도 역사를 왜곡하기는 마찬가지... 라는 시각에 동조하는 기사였다.

게다가, 군부독재때, 특히 역사 왜곡이 많이 되었다면서, 요즘 한참 화두가 되고 있는 독도 문제와 관련해서, 한국에서 독도 관련 단체 후원 콘서트를 하고, 초등학교에서는 아이들이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노래를 부르고, 아이들이 독립기념관에서 일제 당시 고문을 재연한 것을 보면서, 어렸을 적부터 일본인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갖게 된다는 게 주요 골자 였다.

존의 시각은, 역사 왜곡을 안 하는 나라가 어디 있냐. 는 거 였는데.. ---- 그래서 그 라디오 방송이 꽤나 중립적이었다는 거였고....

나의 시각은, 똑같은 역사 왜곡이라도, 우리 조상을 미화하는 거랑, 전쟁 역사를 왜곡하는 거랑, 어떻게 똑같이 놓고 비교할 수 있는 거냐. 였다...


여하튼..... 오늘도 하루 종일 일하고...
집에 손님까지 초대한 터라.... 다들 가시고 나니, 11시 반이다.

빨리 자야지...
내일 일어날려면..........................

------------------------------------------------------

다음은 .... 라디오 4의 오늘 아침 방송의 역사 교과서 관련, 전문...


....... The japanese government says it will scrutinise textbooks in China,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after being criticised for its own approval of controversial history school books. Critics say one of the new books whitewashes Japanese atrocities and its war of aggression in Asia, but Japanese officials say neighbouring countries also distort history.

일본정부는 논쟁의 소지가 있는 역사 교과서를 채택했다는 비난을 받은 후, 중국, 한국 및 타 국가의 역사교과서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한다. 비평가들은 새 역사교과서 중 하나가 일본의 잔혹성과 아시아에서의 한 침탈 전쟁을 미화시킨다고 하지만, 일본 정부관계자는 이웃나라들 역시 자국의 역사를 왜곡하기는 마찬가지라고 한다.

Charles Scanlon reports from the South Korean capital Seoul:
챨스 스캔론 기자가 한국의 수도 서울에서 보도합니다.

(Korean Children Singing) (한국 아이들이 노래를 부르고 있음)
Patriotic education for ten year olds at a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Dokdo is our land" they sing, a reference to a tiny group of uninhabited islands at the centre of an emotional dispute with Japan.

한국의 한 초등학교에서 10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애국 교육이 한창입니다. 아이들은 “독도는 우리 땅”이라고 노래를 부릅니다. 독도는 한창 일본과 감정적 논란의 중심에 있는 아주 작은 무인도입니다.

(Korean Teacher Talks to Children)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수업 중)
The classroom is decorated with anti-japanese cartoons and the children are told that Korean territory is once again under threat from a hostile neighbour.
교실은 반일 만화로 꾸며져 있고 아이들은 한국의 영토가 또 한 번 적대적인 이웃국가(일본)의 위협아래 처해 있다는 얘기를 선생님에게 듣습니다.

(Korean Child talks....and is then translated) (아이들이 말하고, 영어로 번역됨)
"I've seen lots of films where the Japanese are very cruel and now they are claiming Dokdo island. They keep putting their eyes on things that aren't theirs"
“영화에서도 일본사람들은 잔인해요. 이제 일본사람들이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해요. 일본 사람들은 계속 자기네 나라 것이 아닌 것에 자꾸 눈을 돌려요.”
(Second Korean Child Talks and is then translated) (두 번째 아이가 말하고, 영어로 번역됨)
"It was a disgrace in the past for Korea to kneel down helplessly in front of Japan. Korea needs to be stronger so it can stand up to countries like that" 지배당할 때는 너무 한심해요. 힘없으면 당하기만 하구요.
“과거에 한국이 무력하게 일본 앞에 무릎을 꿇을 수밖에 없었던 한국의 과거가 부끄럽다. 한국은 더 강해질 필요가 있고, 그래서 이런 나라에 대항할 수 있어야 된다”

It's sixty years since Korea gained its independence from Japan, but old resentments are being passed 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many young South Koreans are just as suspicious of Japan as their parents and grandparents. They're taught that Korea is a uniquely virtuous land, that suffered much at the hands of a culturally inferior neighbour. Professor Park Tae-Gyu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ays past military governments distorted history in order to bolster their own legitimacy.

한국이 일본에서 독립을 한 지 60년입니다. 그러나 옛 분노의 감정이 아직도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많은 젊은 한국인들은 그들의 부모와 조부모만큼 일본에 의구심을 품고 있습니다. 한국은 굉장히 고결한 나라고, 그런 한국이 문화적으로 열등한 이웃나라(일본)의 손에서 고통을 많이 당했다고 배웁니다. 서울 대학교 국제대학원 박태균 교수는 지난 (한국의) 군사정권이 자신의 정통성 확립을 위해 역사를 왜곡시켰다고 말합니다.

(Professor Park Tae-Gyun talks in English)
"They let the students believe Korea is the very superior country and it had the very glorious history. So that kind of historical description is somewhat a little bit of distortion compared to the historical fact"

“군사정권은 학생들이 한국이 굉장히 우월한 나라이며, 영광스러운 역사를 가졌다고 믿도록 조장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역사적 묘사가 역사적 사실과 비교하면, 약간 왜곡되었다고 할 수 있죠.”

(Sounds of screaming in Korean)
A ghoulish recreation of Japanese torture chambers at the Independence Hall, south of Seoul, a monument to Korean nationalism built by a former military dictator. On weekends, the exhibits are thronged with families, many with young children. The view of Japanese as aggressors and torturers is instilled at an early age.

서울 남쪽에 위치한 독립기념관의 일본 고문실의 잔인한 재연. 이는 과거 군사 독재자에 의해 건립된 한국의 민족주의에 있어서 기념비적인 건물입니다. 주말에는 이곳의 전시를 보기 위해 가족들이 줄을 잇습니다. 많은 가족들은 어린 아이들과 같이 옵니다. 공격자와 고문자로써의 일본인에 대한 시각이 어렸을 때부터 주입됩니다.

(Sounds of Korean Pop Music)
An open air concert in support of South Korea's claims to the disputed Dokdo islands. There has been a furious response here to Japan's renewed claim to the rocks, which are occupied by South Korean police. The audience is invited to sign a petition against Japan's bid to become a permanent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논쟁이 되고 있는 독도가 한국 땅임을 널리 알리고 이를 후원하기위한 야외 콘서트. 여기서 한국 경찰이 주둔하고 있는 돌섬에 대한 일본의 반환 요구에 대해 격렬한 반응이 있었습니다. 관중들은 일본 UN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반대 서명운동에 참여하도록 권유 받습니다.

(Korean Man talks in Korean and is translated)
"We're angry that there has never been a convincing apology from Japan. It's not the Japanese public, it's the leadership that's the problem. We really resent them"

“지금까지 일본이 옛날 일에 대해 제대로 된 사죄를 한 적이 없다는 데 화가 나는 거죠. 일본 다수의 사람들이 문제가 아니라, 그 일을 끌어가는 일본 정부와 정치가들이 문제에요. 정말 그들에게 화가 나요”

Professor Park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ays Korean historians are becoming more objective with the growth of democracy, but he says politicians and newspapers still propagate a highly nationalistic view of the past.

서울대학교의 박 교수는 한국의 역사가들이 민주주의가 성장함에 따라, 점점 더 객관적이 되어가고 있지만, 정치인들과 신문사들은 여전히 과거의 극도로 민족주의적 시각을 선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Professor Park Tae-Gyun talks in English)
"They did not show the very new or fresh perspective, they just have the still, very old version, the old nationalistic version. So that was one of the reason why, still the Koreans did not prepare to change their.... the historical idea"

“그들은 아주 새로운 시각을 보여주지 않았어요. 아주 오래된 민족주의적 시각을 가지고 있죠. 이것이 한국인들이 여전히, 자신들의 역사적 사상을 바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이유 중의 하나입니다.”

Nationalism is on the rise across the region, the disputes over history, a sign that old feuds and rivalries are as keenly felt as ever.

민족주의는 한국 전역에서 다시 살아나고 있다. 역사에 대한 논란, 이는 오래된 숙적과 적대의식이 그 어느 때 보다 격심하게 느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